중소벤처기업부, 국토교통부, 교육부는 전북대학교, 창원대학교를 2022년 ‘캠퍼스 혁신파크 사업’의 신규 사업지로 최종 선
‘캠퍼스 혁신파크 사업’은 대학의 유휴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고 산학연 혁신허브(기업입주공간)를 마련하는 등 정부의 산학연 협력 및 기업역량 강화 사업 등을 집중하여, 대학을 지역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3개 부처(중소벤처기업부, 국토교통부, 교육부) 공동사업
「캠퍼스 혁신파크 조성방안」 발표(2019년) 후 1, 2차 공모를 통해 5개 대학(강원대, 한남대, 한양대 ERICA캠퍼스, 경북대, 전남대)을 선정했으며, 사업별로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 등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 중
정부는 기존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따라 사업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올해 신규로 2개 대학을 추가 선정하기 위한 공모를 진행
이번 공모는 지난 2019년도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하는 것으로, 총 17개 대학이 제안서를 제출하여 8.5대 1의 경쟁률을 보임
3개 부처는 산업입지, 산학협력, 창업 및 기업육성 분야 등 전문가 9명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, 공모지침의 평가절차 및 기준*에 따라 서면평가(5.18일), 현장실사(5.25일, 5.27일), 발표평가(6.8일)를 거쳐 최종 2개 대학을 선정
*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, 대학 역량 및 의지, 기업 유치 가능성 등
최종 선정된 2개 대학은 도시첨단산업단지로의 개발 타당성과 산학협력 역량이 우수하고, 기업유치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 됨
1. 전북대학교 제안사업 주요 내용
□ 사업개요
ㅇ (사 업 명) 전북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
ㅇ (위 치)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664-14, 664-52~54번지
ㅇ (사업규모) 사업부지 36,580㎡(1단계 25,516㎡, 2~3단계 11,064㎡) /
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,300㎡(신축)
ㅇ (기간/예산) ’22∼’30(1단계 ’22∼’25, 2~3단계 ’25∼’30) / 510억원(총1,110억원)
□ 추진계획 ※ 사업계획은 산업단지계획 수립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
ㅇ(1단계, ’22∼’25) 산학연 혁신허브 신축(부지 2.5㎡)
* 문화콘텐츠, ICT, 바이오융복합 분야 기업 유치
ㅇ (2단계, ’25~’27) R&D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거점 조성(부지 0.4㎡)
ㅇ (3단계, ’28~’30) ECO 복합단지(교육·문화·복지시설 집적화) 조성(부지 0.7㎡)
□ 주변여건
ㅇ (정주여건) 전주 중심부로 캠퍼스 인근에 주거 시설(아파트 등) 및 각종 편의시설(대형마트, 백화점, 학교, 병원 등) 입지로 정주여건 우수
ㅇ (교통여건) 2㎞ 이내 전주역, 고속·시외버스터미널 인접
2. 창원대학교 제안사업 주요 내용
□ 사업개요
ㅇ (사 업 명) 창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
ㅇ (위 치)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
ㅇ (사업규모) 사업부지 18,000㎡ /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,490㎡(신축)
ㅇ (기간/예산) ’22∼’30(1단계 ’22∼’25, 2~3단계 ’26∼’30) / 504억원
□ 추진계획 ※ 사업계획은 산업단지계획 수립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
ㅇ(1단계, ’22∼’25) 산학연 혁신허브 신축(부지 1.8만㎡)
* 스마트 제조, 탄소중립, 지능형방위·항공 분야 기업 유치
ㅇ (2단계, ’26~’28) 기업창업과 성장·재도전 전주기적 패키지 지원 체계 구축(인력양성과정 개설, 창업기업역량강화, 스케일업 프로그램 운영 등)
ㅇ (3단계, ’29~’30) 운영자립화 체계 구축(기술지주회사 역량 강화 등)
□ 주변여건
ㅇ (정주여건) 창원 중심부로 캠퍼스 인근에 주거 시설(오피스텔 등) 및 각종 편의시설(학교, 병원, 극장, 백화점 등)이 입지하여 정주여건 우수
ㅇ (교통여건) 도보로 창원중앙역(KTX) 5분, 차량으로 창원종합터미널 10분
[ 캠퍼스 혁신파크 1・2차 선정대학 추진 현황 ]
□ 1차(’19년 선정) 3개 선도대학(강원대, 한남대, 한양대 에리카)
-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-
(위치)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192-1 강원대학교 내 일원
(규모) 단지면적 66,500㎡, 산학연 혁신허브 22,300㎡(연면적)
(기간) ’20 ∼ ’26년 / (사업비) 504억 원(국비 190.5억 원)
(유치업종) 데이터, 바이오, 정밀의료, 디지털 치료기기, 에너지 신산업 등 기업지원공간,
연구개발(R&D)센터 조성, 사회·문화·생활혁신센터 추가 조성 등
(현황 및 계획)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(’21.1.) → 산학연혁신허브 착공(’22.1.) → 산학연혁신허브 기공식(’22.3.) →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(’22.하반기) → 산학연혁신허브 완공(’24.상반기)
- 한남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-
(위치)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133일원
(규모) 단지면적 30,453㎡, 산학연 혁신허브 22,300㎡(연면적)
(기간) ’20 ∼ ’25년 / (사업비) 504억 원(국비 190.5억 원)
(유치업종) 기계·금속, 바이오·화학, 지식서비스, ICT 기업·지원기관 유치, 설계/엔지니어링 지원 확대
(현황 및 계획)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(’20.10.) → 산업단지 기반공사 착공(’21.11.) →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(’22.4.) → 산학연혁신허브 착공(’22.6. 예정) → 산학연혁신허브 완공(’24.하반기)
※ 대전시 : 캠퍼스 혁신파크를 위한 ‘외국인투자유치 프로젝트 상품화지원사업’ 수행 중(’21.7.~현재)
-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혁신파크 -
(위치)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1271 일원
(규모) 단지면적 78,579㎡, 산학연 혁신허브 22,300㎡(연면적)
(기간) ’20 ∼ ’25년 / (사업비) 504억원(국비: 95.2억원)
(유치업종) IT연계 창업기업, 첨단부품소재·스마트제조 혁신기업 공간조성, BT·CT창업, BIO·의료기업 유치
(현황 및 계획)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(’20.10.) → 산업단지 기반공사 착공(’21.3.) → 산학연 혁신허브 착공(’22.1.) → 산업단지 기반공사 완료(’22.12.) → 산학연 혁신허브 완공(’24.하반기)
2차(’21년 선정) 2개 대학(경북대, 전남대)
위 치 |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|
사업규모 | 사업부지 32,000㎡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,000㎡ |
사업기간 | 2021∼2026년 * 1단계 ’21~’24년, 2단계 ’25~’30년 |
총사업비 | 517억원(국비: 190.5억원) |
유치업종 | 의료기기, 의약품 제조 등 첨단 제조산업, 컴퓨터 프로그래밍, 시스템 통합 등 첨단 연구산업 |
추진현황 |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절차 진행 중 (’22.9. 도첨단지 지정 예정) |
위 치 |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|
사업규모 | 사업부지 35,609㎡ 산학연혁신허브 연면적 22,350㎡ |
사업기간 | 2021∼2030년 * 1단계 ’21~’25년, 2단계 ’23~’27년, 3단계 ’27~’30년 |
총사업비 | 530억원(국비: 190.5억원) |
유치업종 | 정보기술(IT)·환경공학기술(ET)·생명공학기술(BT)·문화콘텐츠기술(CT) 등 첨단산업 |
추진현황 |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절차 진행 중 (’22.9. 도첨단지 지정 예정) |
'스타트업 박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디지털 클러스터 13개 연합체(컨소시엄) 선정 (0) | 2022.08.08 |
---|---|
미래 거대신생기업(유니콘기업) 키운다 (0) | 2022.08.08 |
「IBK 1st Lab」 3기 참여기업 모집 공고 (0) | 2021.11.11 |
IP(지식재산)디딤돌프로그램 「IP창업스쿨(2021년 5기)」교육생 모집 (0) | 2021.11.11 |
오비맥주와 함께하는 창업 허브 스타트업 발굴 (0) | 2021.11.02 |